타이거프레이트(주)
뉴스/물류시황/운임

운임시장*미국항만입항료부과*환율상승*국가별시위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본문

수신 : 화주제위


안녕하세요~ 타이거프레이트(주) 황수환 입니다.


즐겁고 풍성한 명절 연휴 잘 보내셨는지요~~~

계절은 동일하게 반복되는 것 같은데, 날씨는 예전의 날씨가 아니네요.

청명한 가을'이라고 늘 생각하고 살았는데, 최근의 몇 년간은 바뀐 것 같습니다.

초가을을 제외하고는 거의 우기'에 가까운 것 같습니다. 뭔가 많이 아쉬운 그 무엇입니다.


역시나 9월에 있었던 미주향 운임 상승은 잠깐이었네요..

미주, 유럽향 운임이 전면적인 하락으로 돌아서고 있습니다.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밀어내기 물량 출하 완료, 신규 선박 공급 등이 주요 원인이고요,

아시아권의 물량 판도도 바뀌고 있습니다. 

기존에 상위권 수출국(중국,한국,대만)은 지속적으로 감소(일본은 조금 상승)하고 있고,

베트남,인도,남아시아 등이 계속해서 미국향 수출을 늘려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미국 항만 입항료(10월14일 발효)가 부과되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처음 발표할 때도 좀 황당한 정책이었는데요, 아직 유예한다는 얘기는 없고,

선박회사마다 수억달러의 비용(혹은 수익 감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선박회사들이 현재까지는 해당 비용을 운임에 즉각 반영하지는 않겠다고하여

10월의 해상운임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지는 않지만, 시장에 다른 상승 요인이 발생하면

언제든 반영될 여지도 있으니 계속해서 주의 깊게 봐야겠습니다.

 

중국소유, 중국계운항

비중국계운항+중국건조선박

항해마다 NET 톤당 $80

항해마다 $154/20`CNTR


선박회사(금액순)(국적)

입항료예상비용(연간,2026)

COSCO, OOCL (중국)

15달러

ZIM (이스라엘)

51천만달러

ONE (일본)

36천만달러

CMA (프랑스)

33천만달러

MSC (스위스)

24천만달러

HAPAG (독일)

13백만달러

**다행인 건가요,,HMM (한국)은 소유,운항,건조선 등에 중국 관련된 것은 크게 없다고하네요..**


환율이 다시 큰폭으로 상승했습니다...슬슬 또 불안감, 부담감이 엄습하는데요,

시장에서는 일본 엔화 하락,유로(유럽 재정위기감,프랑스 등등) 하락, 대미통상지연 등등을 이유로 보고있습니다.

이유를 떠나서, 암튼 납득이 어려운 달러' 강세입니다....A.I.야 좀 도와줘, 연산만 열심히 하지 말고,,


세계 다수의 국가에서 반정부 시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네팔,인도네시아,프랑스,미국 등등)

한 국가의 구성원들의 불만 지수가 점점 더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왕족이든 고위 정치인이든, 모두가 한 나라의 구성원이 이전보다 나아지는 삶을 위한 방향을 잘 모색하길 희망합니다.

TIGER FREIGHT CO LTD (SALES@TIGERFREIGHT.CO.KR)

to top